![]()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부품으로 미국에서 만든 자동차에는 자동차 가격의 최대 15%만큼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지난 29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25% 자동차 관세 일부를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에서 완성되고 부품의 85%가 국산인 모든 차량에 관세가 없다.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외국 자동차 제조업체에도 이것이 적용된다"고 밝혔다.
그는 15% 관세 감면은 나중에 돌려주는 환급이 아니라 이미 납부된 관세에서 발생하는 상쇄라고 설명했다. 첫해에는 상쇄 비율이 15%이기 때문에 원래 25%인 관세를 3.75%포인트 낮추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 해인 내년에는 상쇄 비율이 10%로 낮아지고 세 번째 해에는 상쇄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 자동차 업계가 부품 공급망을 미국 내로 옮길 기간으로 2년을 제시하고 한시적으로 일부 관세를 면제해주는 셈이다.
이 당국자는 "2년은 충분한 시간"이라며 "자동차 업계가 아무리 노력해도 자동차 부품의 15%는 미국에서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15%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다음 달 3일부터는 자동차부품으로 관세가 확대 적용된다. 다만 자동차 관세는 철강이나 알루미늄 관세와 중복으로 적용되진 않는다. 그는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사 제품에 적용되는 높은 관세 중 하나만 납부하게 될 것"이라면서 "철강 관세 또는 자동차 관세 중 더 높은 관세를 납부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