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3만1979호(수도권 1만4707호, 지방 1만7272)로 전년 동월대비 18.1% 감소해 8개월 연속 하락했다고 29일 밝혔다. 선행지표 성격인 인허가 실적 감소로 향후 주택 공급량의 감소세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은 서울과 인천의 실적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9% 증가했다. 반면 지방은 29.8% 감소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만8124가구(전체 물량의 56.7%)로 전년 동기대비 21.9% 줄었고 아파트외 주택(1만3855가구)은 12.5% 감소했다.
1~2인 가구를 위한 도시형생활주택은 전국 5506가구가 인허가돼 전년 동월(9463호)보다 41.8% 큰 폭으로 줄었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주차난 등의 문제와 분양투자의 수익률 하락 등 과잉공급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8개월 연속 인허가 감소 추세로 이어졌다.
착공실적 역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8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3만5446가구(수도권 1만8628가구, 지방 1만6818가구)로 전년 동월대비 21.0% 감소했다. 지난 7월 증가세에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 동월대비 2.0% 감소한 1만8628가구가 착공됐으나 지방은 35.0% 감소한 1만6818가구에 그쳤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만181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9% 감소했고 아파트외 주택은 1만3634가구로 15.9% 줄었다.
8월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은 전국 2만7981가구(수도권 1만7169가구, 지방 1만812가구)로 전년 동월대비 19.5% 감소해 2개월 연속 줄었다.
수도권의 분양실적은 서울·인천·경기 모두 실적이 크게 늘어 전년 동월대비 114.3% 증가한 반면 지방은 59.6% 감소했다.
유형별로는 분양 주택이 1만9529가구로 전년 동월대비 34.1% 감소한 반면 임대는 7245가구, 조합은 1207가구로 각각 62.0%, 75.9% 늘었다.
지난달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만324가구(수도권 1만1140가구, 지방 1만9184가구)로 전년 동월대비 7.7% 감소했다. 수도권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5% 감소했으나 지방은 64.8%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만6621가구로 전년 동월대비 0.9% 증가했고 아파트 이외의 주택은 1만3703가구로 16.4%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