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코드의 원리는 인쇄된 입력매체에 빛을 쬐어 반사되는 빛의 강약에 따라 전자신호를 발생시켜 이것으로 논리회로를 작동하여 컴퓨터의 내 코드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슈퍼마켓에서 바코드 판독기로 상품을 갖다대면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일일이 입력하는 수고를 덜게 되었으며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품의 생산관리에서부터 판매관리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며, 특히 유통분야에서는 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우리가 많이 바코드는 막대선의 굵기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만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범용화화 함께 최근 가로와 세로 방향에 모두 정보를 담을 수 있는 QR코드로 대표되는 2차원 바코드가 널리 알려지고 또 쓰이고 잇다. 

1차원 바코드에서는 컴퓨터 안에 해당코드를 가진 물건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돼 있어야 그 바코드의 내용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문자,숫자 등 3000여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는 바코드 자체에 제조회사와 제조일시,가격 등의 정보가 포함돼 있어 미리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해도 판독기가 바코드를 읽기만 하면 그 내용이 바로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도록 진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