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조증의 증상, 침의 역할'
![]()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우리가 흔히 입안에 존재한다고 느끼는 것은 이빨과 혀다. 24시간 내내 입안에 있는 침의 존재는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침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침이 부족해지는 이유는 두가지 한가지는 적게 분비되거나 지나치게 많이 증발할 때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리터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된다. 또는 입으로 숨을 쉬면서 입 안의 수분이 증발되면 주관적으로 구강 건조함을 느낄 수 있다.
침이 적게 분비되어 구강건조증의 증상을 경험하는 것
은 빈혈, 당뇨, 노화 등의 이유 때문일수도 있지만, 병적으로는 특히 쇼그렌 증후군이란 자가면역질환이 직접적인 원인이 될수 있다. 또 방사선 치료 등도 구강 건조증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은 빈혈, 당뇨, 노화 등의 이유 때문일수도 있지만, 병적으로는 특히 쇼그렌 증후군이란 자가면역질환이 직접적인 원인이 될수 있다. 또 방사선 치료 등도 구강 건조증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침이 적어지면 즉 구강건조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겪는 문제는 여러가지다. 주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성가신 문제들, 또는 인생의 즐거움과 관련된 문제다.
구강 건조증은 음식의 즐거움과 치아의 건강에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침은 세균의 성장를 제한하고 음식 입자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제대로 하지못하게 되어 충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침은 소화효소가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부족하게 되면 소화불량을 가져올수도 있다.
치료는 통상 인공 침이나 침분비를 촉진하는 약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심각하지 않은 경우라면 신음식이나 껌을 통해 침분비를 촉진할 수 있다.
한편 간혹 약물을 통해 침 분비가 적어지는 경우도 발견된 바가 있었다고 하니 약물복용내역을 진단시 이야기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