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은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904명을 대상으로 라면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밝혔다. 

설문조사한 결과 약 79%가 최근 한 달간 라면을 '먹은 적 있다'고 답했고, 21%가 '먹은 적 없다'고 답했다.

최근 한달간 라면을 먹은 사람의 경우 남성이 84%, 여성이 73%로 남성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하가 약 90%로 나타나 50대(71%)와 60세 이상(5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일주일간 라면을 얼마나 자주 먹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회'가 34%로 가장 많았고 '2회' 15%, '3회 이상' 9% 등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 전체 성인의 라면 취식 빈도는 일주일에 평균 1.11회, 연간 58회(52주 기준)로 나타났다.

이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라면시장의 규모를 추산해보면 (*610원(신라면 최저가)*58회(1인당 년간 취식횟수)*3600만명(생산가능인구)=)1조2700만원이다. 

어마어마한 규모다. 하지만 실제 집계된 규모는 이보다 많은 1조9800억원이다. 이는 일반 봉지라면보다 비싼 용기면의 비중이 커지고 있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한편 이렇게 자주 라면을 먹는 만큼 이제 국내 라면 시장은 포화상태로 보인다. 이를 돌파하는 라면업계의 전략은 역시 고가제품의 출시와 수출이다. 

언급한대로 국내에서는 1인가구의 입맛을 노리는 다양한 고가라면을 출시하고 있는데, 수출에 있어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다른 움직임이 눈에 띈다. 
도시락 플러스, 러시아 현지 제품(제공=팔도)
도시락 플러스, 러시아 현지 제품(제공=팔도)
봉지라면에서 신라면이 1위를 굳게 지키고 있는 가운데 용기라면은 중년남성들에게 추억의 이름으로만 기억되는 팔도의 '도시락'이 2억달러(한화 2천100억원)이상의 매출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도시락의 국내 매출액은 40억원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