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지만 이렇게 축구경기를 시청하다보면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 목과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평소 직장인들의 경우 컴퓨터 및 스마트 기기 사용시간이 길어 목뼈가 일자로 변해있거나 거북목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 거리가 멀거나 눈높이가 맞지 않으면 무의식적으로 목을 앞으로 쭉 내미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
그런데 특히 축구 경기를 보다보면 집중해 경기 시간 내내 움직이지 않고 모니터와 가까이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구로예스병원 성현석 원장은 “정상 목뼈는 C자형 곡선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는데 일자목이 되면 머리와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해지고 충격이 그대로 전달된다”며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축구경기를 시청하다 보면 목 뒷부분과 어깨의 긴장이 지속되어 목과 어깨 통증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눈높이는 모니터와 수평선상에서 아래로 약 15-30도 정도가 되도록하고 모니터와의 거리는 60-80cm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축구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누워서 보는 경우 손으로 들고 있기 때문에 어깨와 팔 근육이 긴장되고 엎드린 자세도 머리 지탱을 위해 뒷목과 어깨 근육에 힘이 들어가 근육이 뭉치게 되어 근막통증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앉아서 보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고개를 숙이고 등을 구부리게 되면 뒷목과 등의 근육 및 인대가 지탱하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목과 어깨 근육이 쉽게 경직된다.
통증 유발을 막기 위해서는 스마트기기 혹은 컴퓨터와의 눈높이를 맞추고 눕거나 잘못된 자세로 시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기를 한 곳에 고정시켜 보는 것이 통증 유발을 막을 수 있겠다.
통증이 심한 경우 휴식을 취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면 도움이 되지만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발생하는 통증이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현석 원장은 “같은 자세로 긴 시간 앉아 있다보면 목과 어깨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지고 통증을 유발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어깨를 펴고 틈틈히 목을 좌우로 돌리고 어깨를 으쓱 움직이는 등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