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동 |
창업자가 자신이 원하는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업종으로 어디에서 창업하는 것이 좋은지를 알기 위하여 상권조사를 하게 된다.
조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조사대상을 골라야 한다. 예를 들면 상권조사는 상권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또 조사방법도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권조사를 위해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정량적 방법은 설문지법, 통계적 방법, 수학적 방법 등이 있으며, 정성적 방법으로는 주관적 평가법과 체크리스트법, 현황조사법 등이 있다.
조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조사대상을 골라야 한다. 예를 들면 상권조사는 상권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또 조사방법도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권조사를 위해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정량적 방법은 설문지법, 통계적 방법, 수학적 방법 등이 있으며, 정성적 방법으로는 주관적 평가법과 체크리스트법, 현황조사법 등이 있다.
한양사이버대 김영갑 교수는 자신의 상권분석 블러그를 통해 이같이 소개하고, "상권조사를 쉽게 진행키 위해 조사외에도 분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진다"고 말했다.
상권을 쉽게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하여 ‘자사, 경쟁사, 소비자’라는 분류를 하고 상권의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경쟁사를 더욱 깊이 있게 확인하기 위해 ‘메뉴, 가격, 위치, 촉진, 분위기, 서비스, 직원’이란 분류를 만들어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
김 교수는 "복잡하고 어려운 상권의 내용을 아주 단순하고 쉽게 설명하고 싶다면 상권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을 잘 만들어야 한다."라며 "일례로 경쟁사를 파악하기 위한 분류의 기준은 마케팅믹스 7P를 이용한 것이다. 그 외에도 다른 기준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조사이후 중요한것은 분석이다.
창업자가 업종을 선택한 후, 사업장을 찾고 있다면 ‘상권조사분석, 입지조사분석, 사업타당성분석, 전략수립’으로 부분을 나누어 설명하면 이해도 쉽고 사업장을 찾기도 수월해진다.
김 교수는 "분석을 한다고 반드시 원하는 결과가 보장되지는 않는다."라며 "분석은 막연함을 불식시키고 대상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외형적인 것뿐만 아니라 내면의 숨겨진 부분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분석을 한다고 반드시 원하는 결과가 보장되지는 않는다."라며 "분석은 막연함을 불식시키고 대상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외형적인 것뿐만 아니라 내면의 숨겨진 부분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제안하는 분석을 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항목별로 나누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하나는 프로세스, 즉 진행순서에 따라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상권을 분석하는 활동은 항목별로 나누는 방법보다는 일의 진행순서에 따른 방법이 우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권조사분석, 입지조사분석, 사업타당성분석, 전략수립’의 순서로 분석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상권조사와 분류는 분석을 통해서 이해관계자에게 전달된다. 분석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했느냐에 따라서 이해관계자의 설득이 용이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상권조사와 분류는 분석을 통해서 이해관계자에게 전달된다. 분석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했느냐에 따라서 이해관계자의 설득이 용이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