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2015년도 매출액 약 1조1300억원을 달성해 이커머스 기업 최초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2014년 매출액 약 3485억원 대비 3.3배에 달한다.
꾸준히 제기된 적자설에 대해서 쿠팡은 물류와 로켓배송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따라 약 52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나, 이는 계획된 적자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약 5200억원의 적자규모 중 물류와 로켓배송 등을 위한 선제적 투자 비용이 약 89%를 차지해 향후 사업 확장을 위한 선제적 투자의 성격이 강하다.
쿠팡은 "이번 재무제표 공개를 통해 재무건전성이 아주 양호함을 입증함으로써 쿠팡의 유동성 위기설를 일축하겠다"고 밝혔다.
한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는 부채비율, 유동비율이 꼽힌다. 쿠팡은 자사의 부채비율은 152%, 유동비율은 156%으로 아주 양호하다고 전했다. 실제 국내 주요기업 및 이커머스 기업들의 부채비율을 살펴보면, 현대자동차 147%, 롯데쇼핑 138%, GS리테일 120%, 인터파크 175%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쿠팡 김범석 대표는 "쿠팡은 고객에게 획기적인 새로운 경험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어야 움직이는 회사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혁신적이며, 고객 중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쿠팡은 창업 2년만에 흑자를 달성했다"며 "현재 우리가 그린 큰 그림 내에서는 이미 받은 투자금으로도 재원이 충분하며, 우리의 투자자들은 쿠팡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커머스기업 쿠팡. /사진=머니위크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