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집 휴원.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소속 전국 보육교직원들이 지난 13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맞춤형보육 제도개선 및 시행연기 촉구 2차 결의대회'를 갖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7월1일 맞춤형 보육사업 시행을 앞두고 광주와 전남지역 가정어린이집 1080여곳이 23, 24일 집단 휴원을 예고했다. 지난 19일 광주가정어린이집연합회 등에 따르면 광주지역 전체 1350여개 어린이집 중 650여곳의 가정어린이집이 오는 23, 24일 맞춤반 보육료 단가 인상과 두 자녀 가정의 어린이집 종일반 이용 허용을 요구하며 집단 휴원에 들어갈 예정이다.
7월부터 어린이집 맞춤반 보육료는 지난해 종일반 보육료보다 20% 삭감돼 지원된다. 어린이집 단체들은 이 경우 교사 고용의 불안정, 운영난으로 어린이집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어린이집을 보내는 부모들 사이에서도 불평등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광주지역 300여개 민간어린이집들도 집단 휴원에 동참할지 현재 내부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28~30일 어린이집들이 6개월 장기휴업 신청을 내는 등 강도 높은 집단행동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공립, 직장, 법인 어린이집 300여 곳은 오는 23일 한국 어린이집 총연합회 집행부가 복지부 차관 등과 간담회를 갖고 최종 조율에 나서는 만큼 이를 지켜본 뒤 집단 휴원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조율이 안 될 경우 6월말 또는 7월초 삭발 투쟁을 벌일 계획이다.
광주지역 전체 어린이집 대표들은 오는 20일 오전 11시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일정과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전남지역도 가정어린이집 430여곳이 집단 휴원을 예고하고 있다. 국공립, 직장, 법인, 민간어린이집도 오는 2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보건복지부 상임위원회 직후 맞춤형 보육제도 개선과 시행 연기를 놓고 막판 협상에 나선다.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집단 휴원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선 지자체는 대책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광주지역 한 지자체 관계자는 "광주시와 각 지자체 담당 부서가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대책이 없다"며 "전국적인 사안이기 때문에 함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