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뉴스1(이대 총학생회 제공) |
이화여대 본관 건물에서는 28일부터 학생들의 점거농성이 이어져 교수·교직원 등이 40여시간 동안 갇혔다 30일 경찰에 의해 구조됐다.
학생들은 지난 28일 오후 2시 대학평의원회 회의에서 '설립계획 폐기'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점거 농성에 돌입했다. 회의에선 '미래라이프대학 신설 관련 학칙개정안'이 심의될 예정이었으나 학생들의 반발로 열리지 않았다.
학교 측은 특성화고 등 출신의 비정규직 여성들과 사회적 소수자에게 양질의 교육 제공하고 이번 사업으로 30억원 규모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단과대학 설립을 추진 중이다. 학교 관계자는 "이미 사회에 진출한 고졸 여성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다른 대학에도 고졸 직장인을 위한 전형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단과 설립이 학벌주의를 조장하고 교육의 질이 저하되고 대학이 취업훈련소로 전락할 것이라며 크게 반발했다. 총학생회 등 학생들은 미래라이프 대학설립에 대해 "학교 측이 학생 의견을 한차례도 듣지 않았다"며 "학교가 학위 장사를 하는 것이고 입학하는 학생들이 질 낮은 교육을 받아 피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농성으로 건물에 갇혀있던 7명의 교수와 교직원 등이 갇혔다. 건강상의 이유로 2명은 건물을 나왔지만 평의원 4명과 교직원 1명 등 5명은 이날 오후 1시쯤까지 40여 시간 동안 갇혀 있다 경찰에 도움을 청했다.
경찰은 1600여명의 인원을 투입해 구조에 나섰고 인원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의 충돌이 빚어졌다. 농성 참가자 중 2명이 실신해 병원으로 실려 갔고 학생들은 병력 투입 과정을 SNS로 중계해 무리한 공권력 행사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5월 이화여대가 설립하기로 결정한 '미래라이프 대학'은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으로 4년제 대학 정규 학위를 받을 수 있다. 30억원가량의 교육부 지원을 받아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졸업한 학생을 위한 뉴미디어산업전공·웰니스산업전공 등의 전공을 운영한다. 이화여대를 포함한 10개의 대학이 선정됐으며 정원은 200명이다. 2017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