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금융과 원자재업종 강세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개인소비지출이 증가세를 이어갔다는 소식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기준금리 인상 시사 발언을 시장은 악재가 아닌 호재로 해석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34포인트(0.52%) 오른 2180.38을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107.59포인트(0.58%) 상승한 1만8502.99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도 13.41포인트(0.26%) 오른 5232.33으로 거래를 마쳤다. S&P500과 다우지수는 나흘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이날 증시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은행주들이 다소 큰 폭으로 올랐다. 금리가 인상되면 예대 마진이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웰스파고가 2.2%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JP모건도 1.1% 상승하며 힘을 보탰다. 금융업종지수는 0.98% 올랐다. 원자재업종도 0.95% 상승했고 통신과 유틸리티업종도 각각 0.78%와 0.79% 상승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옐런 의장은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최근 몇 개월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에 스탠리 피셔 부의장은 9월 금리 인상은 물론 연내 2회 금리 인상 가능성도 열어놓은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