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미국 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유럽중앙은행(ECB)의 추가 부양 기대감이 꺾이면서 하락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6.23포인트(-0.25%) 하락한 1만8479.91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86포인트(-0.22%) 내려 2181.30으로 장을 마쳤다. 나스닥종합지수는 24.44포인트(-0.46%) 떨어진 5259.48로 마감했다.


주요 종목 가운데는 애플이 2.62% 하락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선보인 ‘아이폰7’ 등 신제품의 혁신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악재가 됐다.

ECB가 이날 열린 정책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당초 기대와 달리 추가 부양책을 내놓지 않은 게 전반적인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회의 뒤에 가진 회견에서 양적완화 연장을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나마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조를 나타내 증시 낙폭이 제한됐다. 미국 노동부는 이날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보다 4000건 감소한 25만9000건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는 이보다 많은 26만5000건이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원유재고가 예상과 달리 급감하면서 국제유가도 큰 폭으로 올랐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2일까지 1주일간 원유재고가 전주보다 1450만배럴 줄었다. 주간 감소폭 기준으로는 1999년 1월 이후 최대치다. 시장에서는 22만5000배럴 증가를 예상했다.

이로 인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4.7% 오른 배럴당 47.62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