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경제포럼(WEF)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전세계 138개국 중 26위를 기록했다.
WEF는 1979년 이후 매년 국가경쟁력을 평가해 발표한다. 1~3위는 각각 스위스, 싱가포르, 미국이 차지했다.
![]() |
/그래표=기획재정부 |
우리나라의 WEF 국가경쟁력 순위는 지난 2008년(13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다. 2012년 19위로 순위가 반짝 상승했지만 이듬해부터 다시 하락세를 이어갔다. 2014년 26위를 기록한 이후에는 3년째 같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도 우리나라는 비슷한 추이를 보인다. 2008~2010년 31위에서 23위로 상승곡선을 그렸지만, 2011~2013년에는 3년 연속 22위에 머물렀다.
특히 2014년(26위)부터는 하락세로 접어들며 올해는 29위까지 떨어졌다.
반면 기업환경 평가 순위는 상승세다. 2008년 23위에서 2011년 8위로 상승해 톱10에 진입한 이후 꾸준히 순위가 올라 지난해에는 4위에 랭크됐다.
이처럼 국가경쟁력 평가와 기업환경 평가가 엇박자 나는 이유는 평가 방식의 차이에 있다는 게 기재부 측의 설명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WEF와 IMD 평가는 국가경쟁력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경제·인프라·시장·제도·기업 등)를 포괄하는 반면 기업환경 평가는 기업 관련 행정의 효율성만 평가해 평가분야가 한정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