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폐암 신약 ‘올리타정’(성분명 올무티닙)의 부작용으로 인한 사망자가 기존에 알려졌던 것보다 더 많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늑장공시로 인한 개인투자자 피해, 미공개 정보 이용 투자 의혹 등을 받고 있던 한미약품에 또 하나의 악재가 추가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통해 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올리타정으로 인한 사망자가 3명, 중대한 이상약물반응이 29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 |
한미약품이 최근 여러 가지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불거지며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사진=뉴시스 |
앞서 지난달 30일 다국적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이 올리타정 개발을 포기하고 한미약품에 권한을 반환하자 식약처는 뒤늦게 올리타정 국내 임상시험 중 중대한 부작용과 함께 사망자 2명(1명은 기저질환 악화 사망)이 발생했다며 안정성 서한을 배포했다.
하지만 권 의원이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9일(75세), 올해 3월23일(57세), 6월28일(54세) 총 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 약물과의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임상시험 도중 사망한 사례도 8건이 발견됐다.
중대한 이상약물반응은 사망 외에도 29건이 더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권 의원은 “임상3상 조건부 허가로 의약품을 시판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은 국민의 안전은 뒤로 한 채 제약사의 비용부담을 줄여주는데 초점을 맞춘 위험한 정책”이라며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식약처가 앞장서 국민안전을 위한 안전장치를 없애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문제가 된 한미약품 외에도 임상3상을 조건으로 허가를 받은 의약품들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