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 자구계획 자금이 1년 만에 1조8500억원에서 7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내년 4월까지 자산매각과 인력감축 등 자구계획을 통해 자금을 얼마큼 확보하는지가 대우조선의 생사를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4~11월 순차적으로 9400억원 규모의 회사채가 돌아오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대우조선해양은 서울 본사사옥과 선박 등을 팔고 인력을 감축하겠다는 자구계획을 내놨다. 당시 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은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올해 수주액을 108억달러로 내다봤다. 하지만 수주실적이 기대에 못 미쳐 지난 6월 수주 목표액을 62억달러로 43% 낮췄다.
대우조선은 생산능력을 30% 감축하고 자회사 14개를 모두 매각해 3조5000억원을 확보하는 내용의 2차 자구안을 발표했다. 이때 금융당국은 올해 수주가 35억달러에 못 미치면 2조원 규모의 비상계획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대우조선 수주액은 13억달러 수준이다.
문제는 대우조선의 유동성 확보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점. 대우조선은 지난 6월 확정한 5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안 가운데 9842억원(올해 8월 기준)을 마련했다. 이행률이 18.6%에 불과하다. 현재 가장 문제되는 것은 앙골라 국영 석유회사 소난골에 인도하지 못한 1조원 규모의 이동식 시추선(드릴십) 2척이다. 당초 대우조선은 올해 7월까지 배를 인도하기로 했지만 이 기간이 9월 말, 11월 말로 연기됐다.
서울 본사사옥 매각도 지연되고 있다. 본사사옥을 매각하는데 성공하면 1700억원대 현금 확보가 가능하지만 인수 희망자가 3차례나 바뀔 정도로 매각작업이 난항을 겪었다.
이와 함께 인건비 절감을 위해 1000명을 희망퇴직시키고 분사를 통해 2000명을 줄이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대우조선 직원은 지난 6월 말 기준 1만2700명으로 올해 안에 1만명 밑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