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출석하는 김형수 전 미르재단 이사장, /사진=뉴스1 신웅수 기자
검찰 출석하는 김형수 전 미르재단 이사장, /사진=뉴스1 신웅수 기자

검찰이 미르재단 초대 이사장을 지낸 김형수 연세대학교 교수를 소환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8부(부장검사 한웅재)는 김형수 전 이사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23일 밝혔다.

김형수 전 이사장은 현 정부에서 ‘문화계 황태자’라 불리는 차은택 광고감독의 추천으로 미르재단 이사장에 올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형수 전 이사장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을 다닌 차은택 감독의 은사다. 김형수 전 이사장은 지난해 10월 미르재단 출범 당시 이사장에 올랐다가 재단을 둘러싼 의혹이 커지자 지난 9월 사임했다.


검찰은 김형수 전 이사장을 상대로 이사장 선정과정에 최순실씨(현재 최서원으로 개명)와 차은택 감독의 입김이 작용했는지 등을 면밀히 조사할 예정이다.

차 감독은 현 정부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씨를 등에 업고 미르재단의 이사장과 이사 선정 등에 깊숙이 개입해 문화 관련 각종 국책사업을 수주하는 등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21일 K스포츠재단의 초대 이사장을 지낸 정동구 한국체대 명예교수, 미르재단 실무자에 이어 전날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직원들과 문체부 관계자 등을 소환하며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오후에는 올해 1월 설립된 K스포츠재단의 현 이사 1명, K스포츠재단을 담당했던 전임 문화체육관광부 과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기 시작했다.


K스포츠재단과 미르재단은 전경련이 800여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단체다. 이 중 미르재단에는 486억원, K스포츠재단에는 288억원이 투입됐다.

특히 두 재단 모두 하루 만에 설립 허가를 받아 설립과 운영과정 전반에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들이 불거진 상태다. 재단 설립 허가는 통상 일주일 정도 걸린다.

게다가 전경련이 회원사인 대기업들로부터 두달만에 이 같은 규모의 출연금을 조성한 것으로 알려져 모금 과정을 두고 강압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과 창립총회 회의록이 거짓 작성됐다는 의혹 등을 받고 있다. 두 재단이 박 대통령의 퇴임 후를 대비해 만들어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앞서 시민단체 투기자본감시센터는 두 재단의 모금압박 의혹과 관련해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최씨, 미르·K스포츠재단 대표 및 이사들을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