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라이트 건국절. 대한민국 수립. 28일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
국정교과서가 공개된 가운데 대한민국 수립과 관련, '뉴라이트 건국절'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오늘(28일) 교육부는 지난 25일 편찬기준에서 예고한 대로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수립일로 기술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공개했다.
앞서 교육부는 편찬기준으로 대한민국 수립일을 1948년 8월15일로 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켜 논란을 예고했다. 이날 공개된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기준 그대로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1948.8.15)"는 기술이 들어갔다. 다만 건국절 논란을 피하려는 듯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는 사실도 함께 들어갔다.
그러나 이같은 관점에 반대하는 역사학계에서는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이 아니라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수립'으로 보는 것이 사실상 뉴라이트의 건국절 주장을 수용한 것이라 비판하고 있다.
뉴라이트 계열 역사학자들은 해방 후인 1948년 8월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보고 건국절로 기념하자는 주장을 해와 오랫동안 논란이 됐다. 헌법에는 대한민국이 임시정부를 계승한다고 명시하고 있어, 건국절 주장은 자칫 임시정부 역사를 부정하는 논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보학계에서는 뉴라이트의 주장이 임시정부 역사를 부정하고 친일세력에 면죄부를 주기 위해 동원된 논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비판에 대해 앞서 이준식 교육부총리는 "1919년 3·1운동과 상해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독립운동을 통해 1945년 독립을 이뤄냈고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을 완성했다. 독립투사의 노력을 폄훼하거나 친일행위를 미화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광복회 등 건국절 주장에 맞서 온 단체들은 이번 교과서 발표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 역시 교육부 발표 후 곧장 "국정 역사교과서는 '박근혜 교과서'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역사와 항일독립운동사를 축소시킨 친일 독재 미화 교과서"라고 주장하며 폐기를 촉구해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