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 구본무 회장.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LG 구본무 회장은 청와대 외압 의혹과 관련해 "기업의 불이익을 우려해 지시를 따른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오늘(6일)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 재벌 총수 9명이 국회에 출석했다.
LG 구본무 회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정유섭 새누리당 의원의 '재단 출연에 대해 검찰 공소장에서 각종 사업의 인허가 어려움, 세무조사 위험 등 불이익을 우려한 것이라고 적시했다'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구 회장은 김 의원이 '미르재단 및 K스포츠재단에 왜 돈을 냈느냐'고 묻자 "한류와 스포츠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면 경제에 도움 된다고 해서 제 생각에는 정부가 뭔가를 추진하는데 민간차원의 협조를 바라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고 했다.
이어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이 “대기업을 피해자가 공범자로 보는 시각이 많다”면서 “각종 민원을 정부에 건의하고 정부가 기업의 편의를 봐주는 대신 준조세 성격의 금품거래가 있다는 게 국민의 생각일 것”이라면서 총수들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구본무 회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정책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구 회장은 김 의원이 '미르재단 및 K스포츠재단에 왜 돈을 냈느냐'고 묻자 "한류와 스포츠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면 경제에 도움 된다고 해서 제 생각에는 정부가 뭔가를 추진하는데 민간차원의 협조를 바라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고 했다.
이어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이 “대기업을 피해자가 공범자로 보는 시각이 많다”면서 “각종 민원을 정부에 건의하고 정부가 기업의 편의를 봐주는 대신 준조세 성격의 금품거래가 있다는 게 국민의 생각일 것”이라면서 총수들의 의견을 물었다.
이에 구본무 회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정부 정책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