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한국은행에 금리인상 압박이 커지고 있다. 금리가 오를 경우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부실해져 우리 경제를 위협하는 뇌관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1295조7000억원으로 1년새 130조원 이상 증가했다. 지난 10~11월 은행의 가계대출이 각각 7조5000억원, 8조8000억원 늘어나 조만간 1300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문제는 지금과 같은 저금리 상황에서 폭증한 가계부채가 금리 인상기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리가 오르면 갚아야 할 빚이 늘어난다. 특히 소득보다 부채가 많은 한계가구의 빚 부담이 더 커진다. 또 금리인상으로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과 담보인정비율(LTV)이 상승하면 가계 경제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 가계소득이 5% 하락하고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의 평균 원리금 상환액이 14% 증가한다"고 밝혔다.

한편 15일 한국은행은 오전 9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1.25%에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채권시장 전문가 200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가 동결을 점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