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380 /사진=대한항공 제공 |
국토교통부가 16일 대한항공 조종사노조 파업과 대한항공의 감편계획과 관련한 대책을 발표했다. 특히 수송·예약승객 조치현황 등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특별안전감독 등 안전관리도 강화해 국민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한항공 조종사노조는 노사간 근로조건 교섭 결렬에 따라 이달 22일부터 31일까지 10일간 전체 조종사 2700여명 중 189명이 참여하는 부분파업을 예고했다. 이에 대한항공은 파업기간 중 22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감편계획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조종사노조의 파업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 5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관계기관, 항공사 등과 파업 기간 중 안전 및 수송방안 등을 협의했다.
먼저 국토부는 특별 항공안전 감독대책을 수립, 파업개시 2일 전부터 파업종료시까지 시행할 방침이다.
제한된 조종사로 스케줄을 소화하는데 따른 휴식시간 부족과 피로가 예상되며, 운항시간에 맞추기 위해 비행 전후 각종점검과 안전절차를 무시하거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조종사가 타는 등 3대 점검분야를 정하고 집중 감독할 계획이다.
운항 횟수가 줄어드는 등 소비자 보호도 요구된다. 이에 대한항공이 신속한 안내와 대체편을 제공하고 취소·환불조치도 수수료를 면제하는 등 소비자 보호의무 이행여부를 감시한다.
수송현황도 챙긴다. 국토부는 파업기간 동안 수송현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해 필요시 즉각적으로 조치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2010년 필수 공익사업장으로 지정돼 조종사노조가 파업하더라도 국제선 80%, 제주노선 70%, 내륙노선 50% 운항유지가 의무화됐다. 오늘 대한항공이 발표한 감편계획에 따르면 파업 전 대비 총 운항률은 92% 수준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오는 20일부터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으로 인해 대규모 결항이나 운송마비 사태 등의 발생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본다”면서 “철도에 이어 연이어 파업이 발생하는 만큼 국민 피로감을 최소화 하기 위해 면밀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