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2015년 8·15 특별사면과 관련해 청와대-SK 간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이 당시 광복절 특사 공식 발표 전 김영태 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이 횡령·배임 혐의로 교도소에 복역 중이던 최 회장을 찾아가 “박근혜 대통령이 사면을 하기로 하며 경제 살리기 등을 명시적으로 요구했다”고 말한 녹음파일을 특검팀이 확보한 것.


이후 대기업 총수 중 유일하게 광복절 특사 대상자로 선정된 최 회장은 출소한 지 사흘 만에 SK하이닉스 반도체 분야 46조원 투자 외에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분야에도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2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SK그룹 시무식에 참석하기 위해 로비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스1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2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SK그룹 시무식에 참석하기 위해 로비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스1

또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실소유주라는 의심을 받는 미르재단(2015년 10월)과 K스포츠재단(2016년 1월)에 111억원을 출연했다. 
하지만 최 회장은 지난해 3월 박 대통령과의 비공개 독대 이후 K스포츠재단으로부터 80억원의 추가 지원 요구를 받았지만 거절하고 미르·K스포츠재단 외에는 자금을 출연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SK 측은 “최태원 회장의 사면과 관련해선 김영태 위원장이 최 회장을 만나러 가기 전에 이미 언론보도 등을 통해 대상자들이 거론되고 있었고 미르·K스포츠재단은 당시 존재하지도 않았다”며 “미르·K스포츠재단 자금 출연은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주요 대기업에게 일괄적으로 출연금을 확정해 요청한 준조세 성격의 지원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최 회장은 사면 직후 경제 살리기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차근차근 이행하고 있다”며 “이번 게이트와 관련된 인사들에게 따로 자금을 지원한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