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민석 민족대표 33인. 한국사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설민석씨. /자료사진=뉴스1 |
설민석씨가 민족대표 33인 폄훼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한국사 유명 강사인 설민석씨는 앞서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에 대해 설명하면서, 룸살롱 등의 표현을 사용한 것이 확인돼 후손들의 항의를 받는 등 논란이 일었다.
설민석씨는 한 강의에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에 대해 설명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룸살롱이 있었다. 태화관이라고. 대낮에 그리로 간 거다. 그리고 거기서 낮술을 막 먹었다. 마담 주옥경하고 손병희하고 사귀었다. 나중에 결혼했다. 그 마담이 DC 해준다고, 안주 하나 더 준다고 오라 그랬는지는 모르겠는데" 등의 표현을 쓴 것이 확인됐다.
논란이 계속되자 설씨는 어제(16일) 페이스북에 직접 글을 올려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설씨는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고 해도 역사라는 학문의 특성상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존재한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설씨는 이어 "민족대표 33인이 3.1 운동 당일에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자발적으로 일본 경무 총감부에게 연락하여 투옥된 점과, 탑골공원에서의 만세 운동이라는 역사의 중요한 현장에 있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 자리에서 만세 운동을 이끈 것은 학생들과 일반 대중들이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계의 평가가 있으며 민족대표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역시 존재한다"며 논란이 된 사건의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설씨는 "저는 학계의 비판적 견해를 수용하여 도서 및 강연에 반영하였으며, 그 날, 그 장소, 그 현장에서의 민족대표 33인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민족대표 33인의 선언보다, 광장의 운동을 이끈 일반 대중에 더 초점을 맞추는 자신의 견해가 강의에 반영됐다는 주장이다.
설씨는 "저는 단지 당시에 목숨을 걸고 일본 제국주의와 싸운 수많은 학생들의 노력과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이름 모를 대중들의 숭고한 죽음을 널리 알리고 싶었을 뿐"이라며 자신의 견해를 거듭 강조했다.
다만 설씨는 "그러나 그것은 그 날 그 사건에 대한 견해일 뿐이지, 민족대표 33인을 폄훼하려는 의도는 없다. 또한 그 날의 사건만으로 민족대표의 다른 업적들이 희석되거나 가려져서도 안 되며, 그분들을 추모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하고 계신 유족 여러분들께 상처가 되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폄훼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또 "제 의도와는 다르게 사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족분들께 상처가 될 만한 지나친 표현이 있었다는 꾸지람은 달게 받겠다. 저 때문에 상처받으신 분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과의 뜻을 전하며 글을 맺었다.
설씨는 유명 한국사 강사로 화제가 된 인물로, TV 등 여러차례 미디어에도 노출돼 유명세를 타고 있다. 또 역사 대중화를 위한 책도 여러권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