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인근 사고해역에서 인양된 세월호가 목포신항으로 이동하기 위해 반잠수선에 들어가 있다. /사진=뉴시스
25일 오전 전남 진도군 동거차도 인근 사고해역에서 인양된 세월호가 목포신항으로 이동하기 위해 반잠수선에 들어가 있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세월호를 들어 올린 잭킹바지선을 세월호 선체와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5일 오전 10시 현재 잭킹바지선의 유압잭에 연결된 와이어를 제거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오전 7시30분 세월호 선체와 잭킹바지선 간 고박된 와이어 제거 작업이 마무리됐다. 와이어 제거 작업이 끝나 세월호와 잭킹바지선이 완전 분리된 뒤 반잠수식 선박은 세월호를 부양한다.


해수부는 세월호 부양 작업이 마무리되면 선체 내 남아있는 해수 배출과 잔존유 제거 작업도 진행할 방침이다. 해수 배출과 잔존유 제거 작업 등이 끝나고 세월호 선체와 반잠수식 선박을 고박하면 목포 신항으로 이동할 준비가 마무리된다.

현재 반잠수식 선박이 약 2m 부양했고 9m 부양하게 되면 물속에 가려져 있었던 세월호 나머지 선체도 모두 수면 밖으로 드러나게 된다. 16m까지 부양하면 잠겨있던 반잠수식 선박의 모습도 드러나게 된다.

이후 세월호는 87㎞ 떨어진 목포신항으로 옮겨진다. 해수부는 최종 목적지인 목포신항까지 3~5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잠수식 선박이 평균 시속 4~5노트(시속 약 10㎞)로 항해하면 10시간 뒤 목포신항에 도착한다. 이어 수습자 수색과 선체 조사 등이 이뤄진다.


앞서 세월호는 전날 오전 11시10분쯤 수면 위 13m까지 부양한 뒤 잭킹바지선 2척과 세월호 간 선체 고박 등 준비 작업을 거쳐 같은날 오후 4시55분 세월호 남동쪽 약 3㎞ 지점에 대기 중인 반잠수식 선박으로 출발했다. 예인선 5척이 바지선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