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종. 사진은 송기석 국민의당 의원. /사진=머니S |
이에 따라 11개 대학은 지난해 치러진 2017학년도 입시에서 부모 직업 등의 정보를 가리지 않고 서류·면접 평가자에게 제공했다. 학종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사실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송기석 국민의당 의원은 12일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61개 대학의 학종 서류·면접 평가 주요 항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서울 주요 대학인 S대, 지방 명문 대학인 K대 등 11개 대학은 1단계 서류 평가와 2단계 면접 평가에서 부모의 직업정보를 가리지 않고 평가자에게 제공했다. 이외에 4개 대학은 답변을 거부해 실제 부모 직업이 노출된 자기소개서를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대학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45개 대학은 서류 평가에서 자율형사립고 등 출신 고교 유형 정보를 평가자에게 제공했다. 23개 대학은 면접 평가가에서도 블라인드 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의 직업 정보 등이 평가자에게 그대로 제공되는 가장 큰 이유는 자기소개서에 기재 금지 조항이 없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마련한 '자기소개서 공통양식'에 따르면 자기소개서에 공인 어학 성적이나 교외 경시대회 수상 실적 등을 기재하면 안 되지만 부모 직업 등 신상 정보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다.
송 의원은 "금수저·불공정전형이라 불리는 학종의 서류 심사는 최소한의 요건 외에는 개인을 특정할 내용을 남겨서는 안 된다"며 "우리 대입 제도가 지향하는 인재 선발과 양성을 위해서라도 대입 기본 사항에 공정성과 신뢰성이 담보된 평가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