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폐업한 공인중개업소는 전국에 1135곳, 휴업한 곳은 133곳으로, 개업 건수(859건)를 넘어선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폐업한 공인중개업소는 전국에 1135곳, 휴업한 곳은 133곳으로, 개업 건수(859건)를 넘어선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거래 절벽 심화로 공인중개업소의 줄폐업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폐업한 공인중개업소는 개업 건수를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폐업한 공인중개업소는 전국에 1135곳, 휴업한 곳은 133곳으로, 개업 건수(859건)를 넘어선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폐·휴업한 공인중개업소는 1만4209건으로, 지난해 8월 폐·휴업 건수가 개업 건수를 역전한 후 이같은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지역별로 서울 등 수도권의 감소세가 뚜렷해지는 현상이다. 지난해 11월 서울은 289곳의 공인중개업소가 폐업했고 25곳이 휴업, 개업은 193곳으로 나타났다. 2022년 8월 이후 16개월 연속 폐·휴업 건수가 개업 건수를 앞질렀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폐·휴업한 공인중개업소는 349곳으로 개업 공인중개업소(259곳)와 차이는 100건까지 벌어졌다.

경기도에서 20년째 공인중개업소를 운영 중인 A씨는 "전세사기 사건으로 전세 매물을 찾는 손님은 거의 없고 금리도 높아 대출 자체가 부담이니 매매 계약 건도 거의 없다"며 "가게 운영도 겨우 버티는 수준이다. 주변에도 폐업하는 공인중개업소가 많다"고 토로했다.


공인중개업소 폐·휴업이 급증한 이유는 부동산 시장 불황 장기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 기준)은 2313건으로 지난 1월(1412(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후 11월 아파트 거래량은 1792건을 기록하면서 전달 대비 22.5% 줄었다.

전국에서 시작된 대규모 전세사기 사건으로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해 공인중개사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고 여기에 고금리 기조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기가 장기화함에 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부동산 시장 활황에 인기가 급증했던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열풍도 꺾인 모양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최근 공인중개사 합격자를 발표한 제34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28만7756명이 신청해 20만59명이 응시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신청자는 10만명 이상 감소했으며 응시자는 6만4000명가량 줄어든 것으로 이는 2016년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