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①과학 기술 기반의 '强軍' 변화 예고
②우주항공청 설치로 관련사업 탄력
③감시·정찰 업무, 앞으론 로봇·AI가 담당
①과학 기술 기반의 '强軍' 변화 예고
②우주항공청 설치로 관련사업 탄력
③감시·정찰 업무, 앞으론 로봇·AI가 담당
우주·항공 산업 분야의 컨트롤타워가 세워진다. 연구·개발(R&D) 기능과 함께 정책 집행, 예산편성 기능도 갖춘다. 이른바 '한국판 나사'(NASA·미국 항공우주국)로 불리는 '우주항공청'을 설치하는 내용의 특별법이 지난 1월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법안이 공포 4개월 뒤 시행인 만큼 오는 5월이면 출범할 전망이다.
흩어진 역량 모으는 게 1순위 역할
정부의 우주항공 관련 업무는 컨트롤타워 부재로 여러 조직에서 중복으로 수행돼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주정책 범위가 우주탐사·산업·안보·국제협력에까지 확대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우주항공 전담기관이 필요했다고 설립 배경을 설명했다. 우주항공청 신설과 함께 국가우주위원회 총괄·조정 역할도 강화된다.우주항공청은 연구·개발 역량을 한데 모아 범부처 정책 수립과 함께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인력 양성과 국제 교류 등의 업무를 맡는다. 300명 이내 인력으로 출범하고 추후 인재 영입을 통해 규모를 키울 계획이다.
관련업계는 그동안 항공우주분야의 연구·개발을 이끌어온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기초·핵심 기술을 담당하는 전문기관으로 남으면서 미래 기술을 개발, 민간과 협력해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협력을 강화하는 구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
2022년 6월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누리호) 사업이 대표적이다. 누리호는 항우연이 개발을 주도하면서 함께 참여한 민간기업이 이양 받은 기술을 토대로 사업화에 나선 형태였다. 하지만 달 착륙을 목표로 한 차세대 발사체는 체계종합기업이 개발 단계서부터 항우연과 함께 주관할 예정이다.
민간기업의 역할은 꾸준히 확대돼왔고 특히 최근엔 우주사업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한화는 우주사업 협의체 '스페이스 허브'를 출범하며 종합 우주사업을 영위하려 한다. 지난해 12월 한화시스템은 자체 개발·제작한 '소형 SAR 위성'을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를 통해 발사에 성공했다.
차세대 전투기 사업을 이어가며 존재감을 뽐내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도 우주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사한 군 최초의 정찰위성 본체 개발을 주관했으며 올해 발사되는 정찰위성 2호기부터는 자체 개발한 SAR 탑재체를 장착하게 된다.
'하늘의 눈'으로 불리는 정찰위성은 올해 3개로 늘어나게 되는데 앞으로 발사할 2·3호 위성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을 주관하면서 KAI, 한화시스템 등이 시제·협력업체로 참여했다.
우주 관련 노하우는 전투기 엔진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와 함께 첨단 기능을 갖춘 고기능성 부품 개발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우주항공청 인력 확보, 민·군 협력은 과제
|
관련업계는 우주항공청 설치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력 부족 해결을 꼽는다. 우주항공청은 총 300여명 규모로 설립되는데 이 중 R&D 인력이 약 200명, 행정 인력 약 100명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조직은 청장-차장-본부장 체계로 구성되며 본부가 R&D를 총괄한다.
정부는 부족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연구기관이나 산업체 종사자를 비롯해 이중국적자와 외국인에게도 문을 열어줄 계획이다. 2023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우주분야 인력은 1만126명이다. 미국 NASA와 일본 JAXA 소속 인원만 해도 1만명 이상인 만큼 국내 인재는 턱없이 부족하다. 전문성과 능력 중심 채용 방침을 세운 것이다.
우주항공청이 경상남도 사천에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지 생활 인프라 확충에도 나설 게획이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기계·방위산업실 연구위원은 "디펜스 스핀온은 글로벌 안보 상황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글로벌 트렌드를 잘 봐야 한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은 민간과 협력을 강화하며 '빨리·저렴하게·대량생산'을 목표로 새로운 개념으로 방위산업을 혁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직접 위성을 발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핀란드 민간위성을 빌려 필요한 정보를 얻는 우크라이나의 경우처럼 당장의 공백 해소 위해 빠르게 대응하는 전략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