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가 경매시장이 거듭된 유찰로 울상이다. 사진은 서울 명동 상권.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
서울 상가 경매시장이 거듭된 유찰로 울상이다. 사진은 서울 명동 상권.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

서울 상가 경매시장이 울상이다. 유찰을 거듭하며 낙찰 가격이 바닥을 찍고 있어서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집합상가(건물 내 점포마다 소유권이 다른 상가)에서 두드러진다.

1일 부동산 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 들어 3월까지(1월1일~3월29일) 서울에서 진행된 점포·상가 경매 건수는 99건이며 이 가운데 91건은 1회에서 최대 13회 이상 유찰을 겪었다.


최근 서울 중구 을지로6가 동대문패션TV(현 롯데피트인 동대문) 쇼핑몰은 7건의 경매가 진행됐고 최대 8회까지 유찰이 이어진 끝에 겨우 새 주인을 찾았다.

8회나 유찰이 이어진 상가는 전용면적 1.5㎡ 점포이며 3188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금액은 감정가(1억9000만원)의 16.8%에 불과하다.

인근 헬로우에이피엠 쇼핑몰 1.1㎡ 점포는 다섯 번의 유찰 끝에 감정가 700만원의 35.1%인 246만원에 낙찰됐다. 2.3㎡ 점포 역시 다섯 번의 유찰이 이어져 감정가(2400만원)의 32.8%인 787만4000원에 팔렸다.


서울 구로구 테크노마트 지하 2층 A상가(2.2㎡)와 B상가(2.1㎡) 역시 일곱번째 경매에서 각각 감정가의 23.6%, 22.3%에 새 주인을 찾았다.

서울 종로구 효성주얼리시티 지하 1층 상가의 경우 감정가가 1억5200만원에 달했지만 무려 열 세번이나 유찰된 끝에 감정가의 6.5%에 달하는 988만원에 팔리기도 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테크노마트나 동대문에 있는 오픈형 상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부터 수요가 줄어 매물이 많이 나왔다"면서도 "상권이 죽었기 때문에 낙찰 됐을 때 활용할 만한 게 없다"고 짚었다.

이어 "해당 상권은 업종이 정해져 있어 마음대로 활용할 수도 없다"며 "상가 전체를 새 용도로 변경하거나, 테마 상가를 만드는 등 전체 소유자들이 이끌어야 하지만 해당 상권이 침체돼 있다 보니 상황이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