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엠폭스가 검역감염병으로 재지정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선포한 탓이다. 정부는 엠폭스 검역 조치 강화와 유증상자의 자발적 신고 유도 등에 나설 방침이다.
21일 정부 등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이날부터 엠폭스를 검역감염병으로 재지정하고 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에티오피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케냐,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등 8개국을 검역관리지역으로 선정했다. 해당 국가 방문 후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등 전신 증상 및 발진이 있는 입국자는 입국 시 검역관에게 신고해야 한다.
엠폭스가 검역감염병으로 재지정되면서 질병청은 강화된 검역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인천공항 내 에티오피아 직항편 게이트에서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사 등을 현장 배치해 신속 대응할 계획이다. 에티오피아 직항편 및 주요 경유지(유럽, 중동) 항공기 오수 감시를 통해 엠폭스 유입에 대한 보완적 감시도 수행한다. 공항만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유증상자의 자발적 신고를 유도하기도 한다.
엠폭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검역관리지역 등 엠폭스 발생 국가 방문 시 모르는 사람 등과 밀접 접촉(피부, 성)을 피해야 한다. 설치류(쥐, 다람쥐), 영장류(원숭이, 유인원) 등의 야생 동물을 접촉하거나 섭취하는 것도 삼가는 게 좋다. 오염된 손으로 점막 부위를 만지지 말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다.
감염이 우려되거나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진료받아야 한다. 고위험군의 경우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예약 후 엠폭스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질병청은 권고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엠폭스 변이 발생국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해외여행 중 모르는 사람과의 안전하지 않은 밀접 접촉(피부·성)과 설치류(쥐, 다람쥐), 영장류(원숭이, 유인원) 등 야생 동물의 접촉 및 섭취를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