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전공의들이 이탈한 빈 자리에 공중보건의사 등을 채운 가운데 이들 중 83%는 의료취약지에서 차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를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 파견 공보의 132명 중 103명(83%)이 의료취약지 소속이었다.
지역 유형별로는 응급·소아·분만 영역 모두 취약지로 지정받은 곳이 27곳(20.5%), 응급·분만 취약지가 67곳(48.5%)로 가장 많았다. 132명의 공보의 중에는 인턴 50명(37.9%), 일반의 50명(37.9%), 전문의 32명(24.2%)으로 나타났다.
의료취약지는 '공공보건의료기본법'에 근거해 복지부가 지정하기 때문에 공적 지원이 없으면 당장 의료공백이 발생하거나 인프라를 유지하기 어려운 곳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최근 공보의 감소로 공공인력 수급도 어려워진 상황 속에서 의료취약지에 있는 의사들마저 대형병원으로 차출되는 상황"이라며 "보강인력들을 긴급 투입하고 있지만 원소속 기관으로 복귀를 요청하는 등 현장 혼란도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공보의가 차출된 지역의 의료이용 현황도 점검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