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홈쇼핑과 케이블TV 간 수수료 갈등이 심화되면서 CJ온스타일이 가장 먼저 케이블TV 3사에 대한 송출 중단 결정을 내렸다. 케이블TV 가입자 수는 나날이 줄어드는 데 반해 수수료 조율은 원활하지 않은 탓이다. 다른 홈쇼핑사들은 아직 협상 단계에 있어 CJ온스타일의 결정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5일 CJ온스타일은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충북방송 등 케이블TV 3사에 대해 송출 중단 의사를 밝혔다. CJ온스타일 측은 "가이드라인에 의거해 송출수수료를 요청했지만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해 5일 자정부터 3개사에 송출을 중단하게 됐다"고 전했다.
CJ온스타일 측은 "케이블TV협회가 주장하는 것처럼 무리하게 송출수수료 인하를 요구하지 않았다"며 "케이블TV사의 최근 5년 평균 취급고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3개사의 감소 폭이 특히 컸다"고 설명했다.
케이블TV 3사의 가이드라인 위반 문제도 제기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송출수수료 산정 시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 수는 제외된다. 이에, 해당 송출수수료를 제외하거나 재산정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케이블TV 3사는 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케이블TV협회 측의 "디지털 취약 세대를 상대로 한 송출 중단"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과도한 비약이라고 일침했다. CJ온스타일은 "송출 중단하는 3개사는 디지털 연계가 어려운 고화질 단방향 방식의 상품(8VSB) 가입자 비중이 높다"며 "대부분은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로 정확한 규모도 파악하기 어렵고 3개사에 실제 사용에 대한 소명 자료를 요청했으나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방송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 비효율 송출 방식을 감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가구 수와 2023년 12월 기준의 유료방송 가입자 수에 따르면 유료방송 가입율은 160%로 중복 사용자가 많은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송출 수수료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라면서 "과거 여러 번 송출수수료 조율이 안 돼 일방적으로 홈쇼핑 채널이 옮겨진 사례가 있다. 반대로 홈쇼핑사가 수익 악화로 채널 이동을 신청하거나 감액을 요구해도 받아들여 지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어 "플랫폼은 가입자가 줄어들어도 기존 수준의 수수료를 내놓으라는 게 지금의 상황"이라며 "수년째 반복되는 송출수수료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대안이 나오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