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공공기관장 조찬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현 부총리는 “공공기관 임원 보수체계 조정 및 공기업 방만경영을 면밀히 조사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공공기관장 조찬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현 부총리는 “공공기관 임원 보수체계 조정 및 공기업 방만경영을 면밀히 조사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1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자구책 마련에 나선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가진 공공기관장 조찬간담회에서 “(공공기관들의) 파티는 끝났다”며 “사업조정, 자산매각, 원가절감, 수익창출 극대화 등 강도 높은 자구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 부총리는 “고착화된 방만경영 근절을 위해 과다한 복지후생과 예산낭비 사례 등을 면밀히 조사한 후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기관장 등 공공기관 임원들의 솔선수범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부채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재무건전성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 부총리는 “최근 5년간 부채 증가를 주도한 12개 기관에 대해 부채 기간, 성질, 발생 원인에 대해 낱낱이 공개할 것”이라며 “부채를 발생 원인별로 분석해 표시하는 부분회계제도도 내년 상반기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현 부총리는 “평가기준을 대폭 활대할 것”이라며 “개선 노력이 미진할 경우 다른 분야 평가가 좋더라도 경영평가 성과급을 제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재무위원회와 방만 경영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공공기관의 방만 경영을 차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