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김대웅 기자 |
지난 11월13일 정부가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오는 2017년까지 1만70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공표한 당일 공교롭게도 삼성그룹이 "6000명의 시간선택제 직원을 뽑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SK텔레콤이 320명의 시간제 일자리 직원을 뽑았지만 채용규모나 '재계 1위'라는 상징성 면에서 삼성의 시간제 일자리 '공약'이 재계에 미칠 영향은 적지 않아 보인다.
◆삼성·LG·SK, 주요계열사에 속속 '동참'
삼성이 채용키로 한 시간선택제 근로자는 총 6000명으로, 2000명 이하를 채용하는 다른 기업에 비해 수적인 면에서 확실히 앞선다. 시간제 일자리 선발에는 20개의 삼성계열사가 참여하는데 주로 경력이 단절된 30∼40대 여성과 50대 이상의 은퇴자들이 수혜자가 될 전망. 삼성은 4시간 혹은 6시간을 근무하는 이들을, 일단 2년 계약직으로 채용한 후 담당하는 직무와 일하는 시간에 따라 급여수준과 복리후생을 정할 방침이다.
LG그룹도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등의 계열사에서 500여명을 시간선택제 형태로 채용하기로 했다. 직무는 번역, 심리상담, 간호사, 컴퓨터지원설계(CAD), 개발지원, 생산지원, 사무지원, 콜센터 상담직, 뷰티 컨설턴트 등. 삼성과 마찬가지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을 비롯해 재취업을 희망하는 중·장년층을 타깃으로 삼았다.
이미 지난 10월 말 320명의 시간제 정규직을 뽑은 바 있는 SK그룹은 앞으로 180명을 추가로 채용해 연말까지 총 500명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 7월 여성가족부와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양해각서까지 체결하며 시간제 일자리 전환에 대한 의지를 보여온 그룹이 SK다.
한화그룹도 올해 안으로 계산전문직(한화갤러리아), 고객상담(한화손해보험) 식음과 서비스(한화캘러리아·한화호텔&리조트) 등에서 모두 150명을 시간선택제 직원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이밖에 GS그룹은 GS리테일과 GS홈쇼핑, GS엠비즈 파르나스호텔(인터컨티넨탈호텔 법인명) 등에서 150명을, 한진그룹은 대한항공 객실승무원, 에어코리아 공항운송, 한국공항 수하물조업직 등에서 400여명의 시간선택직을 뽑기로 했다.
◆유통공룡들, 1000명 넘는 '통큰' 채용
이처럼 삼성을 제외한 대기업들이 주로 500명 이하의 시간제 일자리를 개설하기로 한 데 비해 유통 대기업의 경우 1000명을 훌쩍 넘는 '통큰' 채용을 준비 중이다.
![]() |
시간제 근로자 1068명을 이미 고용한 바 있는 신세계그룹도 연말까지 1000여명을 추가로 채용해 올해에만 2000명 이상의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뽑는다. CJ그룹 역시 최근 CJ제일제당, CJ오쇼핑, CJ푸드빌, CJ E&M, CJ CGV 등 주요계열사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대방안을 토대로 채용인원을 500여명선으로 정하고 구체적인 채용시기 등에 대한 막바지 조율작업에 들어갔다.
◆중후장대 산업은 '글쎄요'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방침에 기업들의 '화답'이 잇따르고 있지만 일부 업종에서만 활용된다는 한계점을 지적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파트타임 등 시간제 일자리에 익숙한 유통업체들은 인력채용에 적극성을 띠고 있지만 자동차와 조선, 중공업 등의 기업들은 시간선택제 도입에 난색을 표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는 것.
실제 자동차업종의 경우 생산인력이 주간연속 2교대제로 돌아가는 상황에서 시간선택제 개념을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재계 관계자는 "현재까지 시간제 일자리가 소화할 수 있는 직무들은 주로 유통이나 서비스업종"이라며 "이는 전문성이나 숙련도가 낮은 인력들이 대부분으로, 제조업에서는 단순한 보조업무 이상을 해당 직원에게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숙련도가 중요한 업무에 투입되는 게 어렵다는 점도 그렇지만,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해야 하는 업종에서도 시간제 일자리 활용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재계 2위인 현대자동차그룹이 시간제 채용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가 작용한 게 아니냐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기업의 시간제 일자리 채용 확대가 역으로 청년 일자리를 축소시키거나, 가뜩이나 무르익고 있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흐름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섞인 해석도 일각에선 대두된다.
![]() |
사진=뉴스1 안은나 기자 |
■'시간제 일자리' 기업, 혜택은 얼마나?
국민연금 등 사업주 부담 '제로'…"효과없다" 지적도
시간제 일자리 도입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천명한 정부는 이를 활용하는 기업에 대한 '당근책'도 마련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월13일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 대해 인건비와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등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따르면 내년부터 상용직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새로 만드는 기업(특히 중소기업)에 대해 국민연금과 고용보험료의 사업주 부담분 전액이 지원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101억원을 배정했다.
여기에 인건비 지원와 세액공제도 확대된다. 새로 만든 시간제 일자리에 대해 80만원 한도 내에서 월급의 절반을 1년간 지원하고, 고용창출 투자세액공제 산정 시 적용되는 상용형 시간제 일자리도 0.5명에서 0.75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고용노동부의 지원책에 대해 같은 정부기관이 나서 "양질의 고용창출엔 큰 효과가 없다"고 반발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4년 예산안 부처별 분석' 보고서에서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에 대해 "고용창출 효과가 미흡하고 취약한 일자리의 사회보험 가입 효과만 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 보고서는 사업주에게 전일제 근로자 대신 양질의 시간제 근로자 2명을 고용할 때 임금 외의 비용(복지비용 등)이 부담돼 사회보험료(1인당 5만8173원) 지원만으로는 고용창출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연금 등 사업주 부담 '제로'…"효과없다" 지적도
시간제 일자리 도입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천명한 정부는 이를 활용하는 기업에 대한 '당근책'도 마련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월13일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 대해 인건비와 사회보험료, 세액공제 등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따르면 내년부터 상용직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새로 만드는 기업(특히 중소기업)에 대해 국민연금과 고용보험료의 사업주 부담분 전액이 지원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101억원을 배정했다.
여기에 인건비 지원와 세액공제도 확대된다. 새로 만든 시간제 일자리에 대해 80만원 한도 내에서 월급의 절반을 1년간 지원하고, 고용창출 투자세액공제 산정 시 적용되는 상용형 시간제 일자리도 0.5명에서 0.75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고용노동부의 지원책에 대해 같은 정부기관이 나서 "양질의 고용창출엔 큰 효과가 없다"고 반발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4년 예산안 부처별 분석' 보고서에서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에 대해 "고용창출 효과가 미흡하고 취약한 일자리의 사회보험 가입 효과만 있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 보고서는 사업주에게 전일제 근로자 대신 양질의 시간제 근로자 2명을 고용할 때 임금 외의 비용(복지비용 등)이 부담돼 사회보험료(1인당 5만8173원) 지원만으로는 고용창출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0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