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시의 정의와 교정방법'
최근 장기기증 운동에 대한 광고가 진행되면서 이와 관련된 장기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기증가능한 장기중 하나인 각막에 대한 관심도 역시 올라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해 각막의 이상에 대한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이상은 난시(亂視, astigmatism)다.
난시의 정의는 안구에 입사된 빛이 망막 위의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해 발생하는 시력장애, 혹은 그러한 시력장애를 갖는 눈이다.
선천적으로 혹은 각막에 생긴 상처 자국 등으로 인해 빛의 굴절력이 빛이 입사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져 생기며 수정체나 결막 등에 생긴 수술 자국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
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
정난시의 경우는 각막의 곡률이 방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반면 부정난시는 상처나 염증의 흔적이 각막에 남아 울퉁불퉁 해지기 때문에 발생하기에 진단 방법 역시 서로 다르다.
또 난시의 정의에 대한 글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현상으로 대개 그 정도가 약하므로 시각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심해지면 흐릿하게 보일뿐만 아니라 이를 교정하고자 하는 눈의 노력으로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두통이 올 수도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에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이용하거나 수술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이용된다.
수술같은 경우 근시나 원시를 치료하기 위한 라섹수술이나 라식수술시 함께 교정하게 되는데 눈이 발달이 끝나고 나서 가능하기에 통상 만 18세 이상일때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18세 미만이거나 수술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경우는 안경이나 렌즈를 끼게 되는데, 그중 최근에는 드림렌즈라 불리는 하드렌즈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드림렌즈 역시 너무 어린 나이에는 불가능할 수 있으며 실시할 수 있는 도수도 기준이 정해져 있기에 전문의의 진단 아래 착용여부를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