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설원에서 즐기는 겨울 스포츠의 경우 언제 어디서 어떻게 부상을 당할지 모르고, 자신에 의해 혹은 타인에 의해 부상을 쉽게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스키, 스노우보드 등 야외 활동이 많은 겨울 레포츠는 충돌이나 낙상 등의 부상위험이 크며 특히나 미끄러운 설원이나 얼음 위에서 빠른 스피드를 느끼는 운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찰나의 순간에 부상을 입게 된다.
![]() |
▶설원스포츠, 아차 하면 부상
기온이 낮으면 몸은 자연스레 움츠리게 돼 몸의 근육이 경직된다. 따라서 평소에 운동을 하던 사람이라도 준비운동 없이 갑작스레 근육을 사용하게 되면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더욱 가게 된다.
또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경우 대부분 몸을 지탱하려고 반사적으로 손목에 체중을 싣는데 이 때 손목 관절에 심하게 무리가 가면 연골이 손상되는 부상을 입게 된다.
손목은 우리 몸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관절이기 때문에 부상을 입으면 일상생활에 불편이 따르고 깁스나 꾸준한 물리치료를 필요로 하기에. 특히 넘어질 때 살이 많은 부분으로 넘어지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넘어졌을 경우 손목 외에 다른 부위의 관절에는 이상이 없는지 체크해 보고 잠깐 동안의 휴식을 갖는 것도 좋다. 휴식 후에도 어깨 부위에 통증이 있다면 상부 관절와순 또는 회전근개 파열도 의심해 봐야한다.
스키장에서는 특히, 직활강처럼 속도를 즐기는 스키어들과 보더들이 있는데 넘어질 때 발목이나 무릎 관절 부상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넘어졌을 경우 손목 외에 다른 부위의 관절에는 이상이 없는지 체크해 보고 잠깐 동안의 휴식을 갖는 것도 좋다. 휴식 후에도 어깨 부위에 통증이 있다면 상부 관절와순 또는 회전근개 파열도 의심해 봐야한다.
스키장에서는 특히, 직활강처럼 속도를 즐기는 스키어들과 보더들이 있는데 넘어질 때 발목이나 무릎 관절 부상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속도를 즐기다 잘못 넘어져 무릎을 다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이 전방십자인대이다. 무릎이 붓고 불안정한 느낌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발생 한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부상예방과 응급처치
어떤 스포츠 활동을 하더라도 준비 운동은 기본이다. 날씨가 추워지면 자연적으로 관절의 운동범위가 제한된다. 몸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운동 전 스트레칭으로 가볍게 몸을 풀어주면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늘려주고 신체 유연성을 높여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키장으로 나가기 전에 실내에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 등으로 몸의 온도를 높여준 후 스키는 즐기는 것이 좋으며, 멋을 낸다고 옷을 얇게 입는 것도 체온유지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보온을 위해 얇은 옷을 겹쳐 입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겨울 레포츠 시 안전장비 착용은 필수
스키와 보드 등 겨울 설원 레포츠의 경우 충돌의 가능성이 크고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안전장비 착용은 물론 안전수칙을 잘 지키고 자신의 수준에 맞게 즐기는 것이 필요하다.
구로예스병원의 김민수 원장은 “겨울 설원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는 매년 늘어가고 있는데 사전 예방으로 무엇보다도 준비운동과 안전장비 착용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며 “부상을 당했다면 움직이지 말고 안전요원의 도움을 받아 1차적인 치료를 받고, 그 후에도 통증이 계속되고 붓기가 빠지지 않는다면 빨리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했다.
도움말=구로예스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