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맞는 ‘두피문신’ 따로 있다...잉크색, 바늘 등 최적화
얼마 전 모 방송사에서 ‘두피문신’에 대해 방영된 적이 있다. 방송에 나오기 이전까지는 크게 알려지지 않은 시술법이라 많은 사람들이 도대체 어떤 시술인지, 가격은 얼마인지 궁금해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두피문신에 대한 정보는 정보를 원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그런데 방송에 나오기 이전에 쓰여진 두피문신에 대한 한 개의 논문이 사람들의 재조명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국내 학술지가 아닌 SCIE급 미용성형학술지 APS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다.
해당 논문의 저자는 다나성형외과의원 박재현 대표 원장. 그는 두피문신뿐만 아니라 헤어라인교정, 비절개모발이식 등의 수많은 논문을 발표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 모발 관련 전문가이다.

박재현 원장은 “두피문신의 경우, 방송에 노출된 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실제로 두피문신이 정확히 어떠한 시술인지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두피문신은 머리에 모발이 부족한 부분에 잉크를 찍어 시술하여 머리 숱이 많아 보이는 효과를 가지고 오는 시술로써 가격이 헤어라인, 모발이식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최근 들어 문의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라고 말했다.


그런데 최근 증가하고 있는 두피문신의 문의량과 같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일부 비의료기관에서 두피문신을 해준다는 홍보가 그것이다. 이런 비의료기관의 경우 병원보다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메리트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박 원장은 “시술을 잘못 받다가는 색이 번지거나 바래서 시술 이전보다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박 원장은 “일반 두피색소요법의 경우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간이 지나며 색소가 옅어지거나 희미해질 수 있어 이런 문제를 보안하고자 DMP 두피문신이라는 새로운 두피문신 시술법을 개발해내는데 성공했다"며 "DMP두피문신의 경우 한국인의 모발 색과 동일한 색의 잉크와 신체에 적합한 시술바늘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빠르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색이 변하지 않아 일반 두피문신보다 자연스럽게 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 라고 설명했다.


한편 SCIE란 미국에서 만든 과학인용색인(Science Citation Index)의 온라인 버전으로 SCI 확장판(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으로 번역된다.

<도움말, 이미지제공=다나성형외과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