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표준어 추가’
'이쁘다', '푸르르다', '~고프다' 등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11개 항목이 표준어로 인정됐다. 복수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이쁘다’를 비롯해 '마실', '찰지다', '~고프다' 등 모두 4개 항목이다.
국립국어원은 이들 어휘와 활용형을 표준어 또는 표준형으로 인정한다는 내용의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14일 밝혔다.
먼저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는 '이쁘다'가 대표적이다. 비표준어로서 '예쁘다'로 써야 했으나 앞으로는 '이쁘다'도 '예쁘다'와 뜻이 같은 표준어로 인정된다.
‘마실’은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과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두 가지 뜻 중에서 '이웃에 놀러 다니는 일'이라는 뜻에 대해서만 표준어로서의 지위가 인정됐다.
현재 표준어와는 뜻이나 어감이 달라 이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는 '푸르르다'가 대표적이다. 본래 '푸르다'로 고쳐 써야 했으나 '푸르르다'와 '푸르다'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푸르르다'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했다.
한편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꼬리연', '의론', '이크', '잎새' '푸르르다' 등 총 5개 항목이다. 국립국어원은 이같은 내용은 2016년 1월1일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반영할 예정이다.
![]() |
'복수표준어 추가' /자료=국립국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