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생명보험협회 |
가계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40~50대 가장의 사망률이 높은 만큼 이에 따른 소득상실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9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가구의 전체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292만원으로 이 가운데 40대와 50대 가구는 375만원과 349만원으로 가장 컸다. 그러나 40대와 50대의 사망확률은 30대보다 2.4배와 5.8배 이상 높았다. 특히 남성사망률이 여성보다 두 배 이상 높아 경제활동이 왕성한 시기에 가계경제가 크게 위협받을 수 있다.
또한 국내 연령별 소비성향이 통상의 U자 곡선이 아닌 W자 형태인 것도 소득상실 위험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로 꼽힌다.
생애주기가설에서 연령별 소비성향은 보통 소득이 높지 않은 20~30대가 높았다가 40~50대에 저축증가로 낮아지고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다시 높아지는 U자 형태로 나타났다. 생애 소비성향은 40대에 발생하는 과도한 자녀 교육비로 W자 형태를 보였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점차 50대의 소비성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생보협회는 가장의 사망이나 가구의 소득상실 시 안정적인 생계유지를 위해 사망보험금과 생활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종신보험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30대 남성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부연이다.
생명보험협회 관계자는 "최근 생명보험사의 종신보험은 사망에 따른 고액보장 외에도 가족생활자금 지원, 암, 뇌출혈, 치매 등 질병 의료비에 대한 담보기능이 추가됐다"며 "경제활동이 왕성한 시기(40~50대)의 사망 또는 질병에 대한 보장이 강화됐고 일부 생보사에서는 가입금액에 따라 보험료 할인 및 헬스케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