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서문시장 화재. 30일 오전 대구 서문시장에 화재가 발생해 점포 500여개가 전소됐다. /사진=뉴시스
대구 서문시장 화재. 30일 오전 대구 서문시장에 화재가 발생해 점포 500여개가 전소됐다. /사진=뉴시스

대구 서문시장 화재로 7시간 넘게 진화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오늘(30일) 오전 2시8분쯤 대구 서문시장에서 화재가 나 점포 500여개가 전소된 가운데 현재도 소방당국이 불길을 잡고 있다.
이날 화재는 대구에서 가장 큰 전통시장인 서문시장 4지구에서 발생했다. 서문시장 4지구는 의류상가가 밀집된 지역이라 불이 빠르게 번진 것으로 전해졌다.

화재 시작 지점은 1지구와 4지구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불길은 한복점, 이불집 등이 밀집해 있는 4지구 1층을 모두 태우고 2·3층까지 번졌다. 4지구의 경우 1~3층에 원단, 한복, 커튼 등 침구류를 파는 점포 839개가 밀집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소방차 등 97대, 헬기 2대, 소방대원 750여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전통시장 특성상 칸막이 없는 개방형 점포가 많아 불이 빨리 번져 진화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전 9시 이후에는 건물을 잇는 다리가 붕괴되는 등 화재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진화작업 중 소방관 1명이 부상을 입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그 외 인명피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대구시 소방 관계자는 "현재 대구시 안전본부장을 현장본부장으로 해 상황정리에 나서고 있으며 중구청 통합 지위본부도 운영 중이다. 앞으로 대구시 및 중구청과 협의해 진압 및 복구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소방본부 김송호 예방홍보팀장은 4지구 건물 붕괴 위험에 대해 "아직 화재를 완전히 진화한 상태가 아니라 현재로는 답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인명피해에 대해서는 "경비원 두명은 대피한 상태며 그밖의 인명피해는 조사중"이라고 밝혔다. 소방장비 작동여부에 대해서는 "스프링클러 작동 여부 등은 추후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 서문시장은 10여년전인 2005년에도 전기합선으로 큰 화재가 발생해 상인 추정 1000여억원의 재산피해가 난 적이 있다. 이밖에도 1922년 개장 이래 크고 작은 화재를 여러차례 겪어 화재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30일 오전 대구 서문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헬기가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30일 오전 대구 서문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헬기가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