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별 거주자외화예금 잔액추이/자료=한국은행
통화별 거주자외화예금 잔액추이/자료=한국은행

달러화 강세 영향으로 달러화 예금이 넉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2월중 거주자 외화예금 동향'에 따르면 달러화 예금 감소 영향으로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은 589억1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21억4000만 달러 감소했다. 지난해 9월 하락세로 전환한 거주자 외화예금은 넉달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지난해 거주자외화예금은 달러화 예금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의 감소(마이너스 25억8000만 달러)에서 3억8000만 달러 증가로 전환했다. 달러화 예금이 24억1000만 달러 증가한 반면 위안화 예금은 33억3000만 달러 줄어 지난해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기업 달러화예금은 410억3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9억6000만 달러 줄었고 개인 달러화예금은 4억1000만 달러 줄어든 86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기업의 달러화 예금이 줄어든 것은 원·달러 환율이 오름세를 이어가자 기업들의 무역대금 결제 및 원화 수용 대응을 위한 예금인출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개인의 경우에도 달러화 강세 전망에 따라 은행 달러예금에 투자했던 개인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됐다.

고석관 한은 자본이동분석팀 차장은 “원·달러 환율 추이에 따라 달러화 예금이 민감하게 반응했다”고 설명했다.

엔화예금은 대기업의 엔화 증권 발행자금 예치로, 위안화 예금은 대기업의 무역대금 결제를 위한 예치 등으로 각 1억4000만 달러씩 증가한 36억3000만 달러, 13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유로화 예금도 증권사의 대기성 투자자금 등으로 1억6000만 달러 늘어난 29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은행별로는 국내 은행의 외화예금은 495억2000만 달러로 29억7000만 달러 줄어든 반면 외은지점의 외화예금은 93억9000만 달러로 8억3000만달러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