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뉴스1 이재명 기자
/자료사진= 뉴스1 이재명 기자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이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에 돌입하더라도 건조자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발주취소(빌더스디폴트‧Builder`s Default) 규모가 8척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이는 앞서 금융위원회와 대우조선해양이 예상한 ‘40척’의 5분의1 수준에 불과해 의문을 자아낸다.
오세현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1실 팀장은 이날 대우조선 30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비공개 설명회 후 미디어 브리핑에서 "대우조선이 건조 중인 선박 114척 중 빌더스디폴트가 실제로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선박은 소난골과 시드릴이 발주한 선박 4척을 포함한 8척"이라며 "실수요자 발주가 대부분인 상선은 선박은 건조자금을 적기에 지원받는다면 계약일자 내 인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는 앞서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밝힌 예상치와 차이가 크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3일 언론브리핑에서 "최대치의 위험요인을 가정할 때 회계법인의 가정과 전제하에 법정관리로 갈 경우 40척 이상의 발주취소가 확실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정성립 사장도 지난달 27일 “수주잔량 114척 중 96척은 빌더스디폴트 옵션이 적용됐고 삼정KPMG 측에서는 P플랜에 돌입했을 때 40척이 확실히 발주취소될거라 예측했다”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수주량의 선가 대부분은 현재 선가에 비해 10~20% 높아 선주사 입장에서는 P플랜을 구실로 계약을 취소하고 다시 발주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빌더스디폴트 규모를 언급한 세 주체는 모두 삼정KPMG의 실사보고서에 기반해 발언했지만 최종적인 수치는 달랐다. 이런 지적에 대해 산업은행 측은 “빌더스디폴트 리스크가 큰 것이 8척이라는 것은 삼정KPMG 보고서에 기재된 내용으로 자의적인 해석이 아니다”라며 “앞서 대우조선 등에선 40척에 대해 리스크가 있다는 내용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우조선 추가지원 방안과 관련해 2주가 넘은 시점에서 ‘8척’이라는 빌더스디폴트 위험 예상치가 처음 공개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P플랜의 손해를 강조할 당시에는 40척의 빌더스디폴트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최대치만 제시됐는데 실사보고서에 상존하는 위험이 8척이라는 전망이 나와있다면 진작에 알렸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 보고서의 내용을 놓고 금융위와 산은, 대우조선 등이 자신들이 원하는 수치만을 선별해 언론을 통해 공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기존 채무재조정을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로 P플랜 대비 채무재조정의 장점을 강조하기 위해 40척이라는 수치만을 차용하다가 이날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에 최후통첩을 하며 P플랜 돌입 가능성이 높아지자 그제서야 ‘8척’이라는 수치를 꺼내는 것은 지나치게 여론을 호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